블로그

  • H1 태그 중복, 왜 문제가 될까? 사이트 구조와 SEO 관점에서 해결 방법

    H1 태그 중복, 왜 문제가 될까? 사이트 구조와 SEO 관점에서 해결 방법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나 구글 서치콘솔에서 이런 메시지를 본 적 있으실 거예요.
    <h1> 태그가 2개 이상 발견되었습니다.
    딱 보는 순간 머릿속이 복잡해집니다. “분명히 글 제목에만 <h1>을 썼는데, 왜 중복으로 잡히는 걸까?”


    h1 태그 중복 왜 문제인가 사이트구조-seo 관점-썸네일


    사실 이 문제는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심지어 직접 만든 홈페이지까지 웹사이트 구조 전반에서 흔히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h1> 중복 문제가 왜 발생하는지, SEO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를 차근차근 풀어드리겠습니다.


    1. <h1> 태그의 의미와 역할

    먼저 기본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야겠죠.
    <h1> 태그는 HTML 문서에서 가장 중요한 제목을 의미합니다. 문서의 주제를 검색엔진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그 중요성 때문에 한 페이지에 단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h1>: 문서 전체의 대표 제목
    • <h2>: 주요 소제목
    • <h3>: 세부 소제목

    즉, <h1>은 책으로 치면 ‘책 제목’, <h2>는 ‘챕터 제목’, <h3>는 ‘소제목’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글쓰기를 한다면 제일 위에 제목이 h1를 담당합니다. 그러니 작성 에디터에서는 h2를 첫 소제목으로 보고 글을 작성하면 됩니다.


    2. 왜 <h1> 태그가 중복될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h1> 태그는 종종 두 개 이상 등장합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블로그·사이트 스킨 구조 문제

    많은 블로그 스킨(예: 티스토리 Book Club, 워드프레스 일부 테마)은 상단 로고나 사이트 이름<h1> 태그로 감싸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 사용자가 글 제목에 <h1>을 추가하면, 사이트 이름 + 글 제목 두 개의 <h1>이 동시에 존재하게 됩니다.

    (2) 작성자가 직접 잘못 사용하는 경우

    일부 초보 블로거는 글을 강조하려고 <h1>을 반복적으로 쓰기도 합니다. 하지만 강조라면 <strong>이나 <em>을 쓰는 것이 맞습니다. <h1>은 단순한 굵은 글씨가 아니라 페이지의 계층 구조를 정의하는 태그이기 때문입니다.


    3. <h1> 중복이 SEO에 미치는 영향

    그렇다면 <h1>이 두 개 이상 있다고 해서 사이트가 망할까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구글은 최근 알고리즘에서 <h1>이 여러 개 있어도 어느 정도는 유연하게 처리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검색엔진이 문서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워진다는 점입니다.

    • 문서의 주제를 파악하는 데 혼선 발생
    • 검색 노출 품질 저하 가능성
    • 구조적으로 불완전한 페이지로 분류될 위험

    네이버나 구글 모두 명확한 계층 구조를 선호하기 때문에, <h1>은 반드시 하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h1> 태그 중복 해결 방법

    자, 이제 어떻게 고치면 좋을까요?

    (1) 스킨 구조 수정 (추천)

    • 티스토리: 관리 → 꾸미기 → 스킨 편집 → HTML 편집
    • 워드프레스: 테마 편집기

    여기서 블로그 이름이나 로고 부분의 <h1><div> 또는 <h2>로 변경하면 됩니다.

    <!-- 변경 전 -->
    <h1 class="blog-title">내 블로그 이름</h1>
    
    <!-- 변경 후 -->
    <h2 class="blog-title">내 블로그 이름</h2>
    

    (2) 글 본문에서 <h1>은 절대 1회만 사용

    글 제목은 자동으로 <h1>이 되므로, 본문에서는 <h2>, <h3>를 계층적으로 사용하세요.

    잘못된 예시:

    <h1>SEO 최적화 방법</h1>
    <h1>H1 태그 오류</h1>
    

    올바른 예시:

    <h1>SEO 최적화 방법</h1>
    <h2>H1 태그 오류</h2>
    <h3>스킨 구조 문제</h3>
    

    (3) <h1> 개수 확인하기

    • 크롬 브라우저: 우클릭 → 페이지 소스 보기 → Ctrl+F로 <h1> 검색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 진단 → URL 검사
    • 구글 서치콘솔: URL 검사 → HTML 구조 확인


    5. 티스토리 Book Club 스킨 사용자 주의사항

    특히 Book Club 스킨은 기본적으로 상단 블로그 이름에 <h1>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글 제목이 <h1>으로 잡히면서 자동으로 2개 이상 중복되는 것이죠.

    해결법은 간단합니다.

    • 상단 블로그 이름을 <h2> 또는 <div>로 교체
    • 글 제목만 <h1>으로 남겨두기

    이렇게 하면 블로그 전반의 SEO 품질이 훨씬 좋아집니다.


    6. <h1>을 포함한 올바른 문서 구조 예시

    이제 실제 문서 구조를 예로 들어볼까요?

    <h1>블로그 SEO 최적화 가이드</h1>
      <h2>1. H1 태그의 중요성</h2>
        <h3>H1이란 무엇인가?</h3>
      <h2>2. H1 중복의 문제점</h2>
        <h3>스킨 구조에서의 오류</h3>
        <h3>사용자 실수</h3>
      <h2>3. 해결 방법</h2>
        <h3>HTML 편집으로 수정</h3>
        <h3>올바른 계층 구조 사용</h3>
    

    이처럼 계층 구조가 명확할수록 검색엔진은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고, 독자도 읽기 편해집니다.


    7. 마무리 – 작은 디테일이 큰 차이를 만든다

    정리하자면,

    • <h1>은 한 페이지에 단 하나!
    • 블로그 이름은 <div><h2>로 충분하다
    • 본문에서는 <h2>, <h3>를 계층적으로 사용
    • SEO 진단 도구로 정기적으로 점검

    SEO는 큰 전략만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런 작은 디테일이 검색 노출과 순위를 좌우합니다.
    티스토리든 워드프레스든, 스킨 구조를 한 번 점검해보고 <h1> 태그가 딱 하나만 있는지 꼭 확인해 보세요.

    검색엔진에게도, 방문자에게도 더 깔끔한 페이지가 완성됩니다.

  • 카페24 워드프레스 ads.txt 넣는 법 – FileZilla로 루트(/www) 업로드 완벽 가이드

    카페24 워드프레스 ads.txt 넣는 법 – FileZilla로 루트(/www) 업로드 완벽 가이드

    애드센스 관리자에 “수익 손실 위험: ads.txt 파일을 게시하세요”가 떠 있나요? 카페24는 ads.txt를 자동으로 만들어주지 않기 때문에, 우리가 직접 사이트 루트(문서 루트)에 ads.txt를 올려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화면 흐름(사용자님이 첨부한 캡처 기준) 그대로 따라서 하시면 쉽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카페24-ads.txt 넣는법-www 루트 FileZilla 이용방법-썸네일


    ads.txt가 뭐고 왜 필요한가

    ads.txt는 Authorized Digital Sellers의 줄임말로, **내 도메인에서 광고를 판매/중개할 수 있는 ‘공식 판매자 목록’**입니다. 광고주·플랫폼에게 신뢰를 주고 제3자가 임의로 광고를 끼워 넣는 일을 막아줍니다. 넣지 않아도 사이트가 망가지진 않지만, 수익 저하·경고 노출이 이어질 수 있으니 빠르게 적용하는 게 정답입니다.

    핵심만 먼저

    1. 위치: 카페24의 워드프레스 호스팅은 보통 /www가 문서 루트입니다(계정마다 /public_html인 경우도 있으나, 이번 캡처는 /www).
    2. 표식: 루트에는 보통 index.php, wp-config.php, wp-admin, wp-content 폴더가 보입니다. 이 파일들이 보이는 그곳이 맞아요.
    3. 검증: 업로드 후 브라우저에서 https://내도메인/ads.txt로 열리면 성공.


    따라하기: 카페24에서 ads.txt 올리기(스크린샷 삽입 위치 포함)

    1) 카페24에서 FTP 접속 정보 확인

    카페24 관리자에 로그인 → 좌측 서비스 접속정보 메뉴에서 FTP 주소·아이디·포트를 확인합니다.

    카페24 관리자 서비스 접속정보에서 FTP 주소·아이디·포트 확인 화면


    2) FileZilla Client 다운로드

    FTP 프로그램은 Client(클라이언트) 버전을 내려받습니다. Server는 내 PC를 FTP 서버로 만드는 용도이므로 헷갈리지 마세요.


    FileZilla 홈페이지에서 Download FileZilla Client 버튼 선택 화면

    FTP 프로그램 fileZilla Client 다운로드

    3) FileZilla로 접속하기

    FileZilla 실행 → 상단 빠른연결 창에 다음을 입력

    • 호스트: 카페24에서 본 FTP 주소(예: limitsend.com)
    • 사용자명: FTP 아이디
    • 비밀번호: FTP 비밀번호
    • 포트: 21(기본)
      연결하면 오른쪽이 “원격 사이트”, 왼쪽이 “내 PC”입니다.

    • [이미지 삽입 위치 C] FileZilla 상단 호스트/사용자명/비밀번호/포트 입력 후 연결된 화면.
      ALT: FileZilla 상단 빠른 연결로 카페24 FTP에 접속한 예시


    FileZilla 상단 빠른 연결로 카페24 FTP에 접속한 예시


    4) 문서 루트(업로드 위치) 확인

    원격 사이트 경로가 /www로 뜨고, 그 안에 wp-admin, wp-content, wp-includes, index.php, wp-config.php 등이 보이면 여기가 루트입니다.

    /www 루트 경로에 워드프레스 기본 폴더와 파일이 보이는 화면


    5) ads.txt 파일 만들기

    내 PC에서 메모장(또는 VS Code)으로 새 텍스트 파일 생성 → 아래와 같이 애드센스가 안내한 내용을 붙여넣고 ads.txt로 저장합니다. 확장자가 ads.txt.txt로 되지 않게 “파일 형식: 모든 파일”로 저장하는 게 핵심입니다.

    google.com, pub-여기에_본인_퍼블리셔ID, DIRECT, f08c47fec0942fa0
    

    예) google.com, pub-1234567890123456, DIRECT, f08c47fec0942fa0
    필요하면 다른 네트워크 라인도 한 줄씩 추가하면 됩니다.

    6) ads.txt 업로드

    FileZilla에서 왼쪽(내 PC)에서 ads.txt를 선택해 오른쪽 /www(루트)로 드래그&드롭합니다.


    7) 정상 반영 확인

    브라우저에서 https://내도메인/ads.txt를 엽니다.

    • 방금 적은 라인이 그대로 보이면 성공
    • 보이지 않거나 404면 아래 문제해결을 확인하세요
      애드센스 경고가 사라지는 데는 보통 수 시간~48시간 정도 걸립니다.


    워드프레스 플러그인 방식도 가능한가?

    가능합니다. “Ads.txt Manager” 같은 플러그인을 쓰면 관리자 화면에서 라인을 입력해 자동으로 파일을 만들어줍니다. 다만 환경/테마/캐시 충돌로 노출이 꼬이는 경우가 있고, FTP 직접 업로드가 가장 확실합니다. 이미 FTP가 연결되는 환경이니 직접 올리는 쪽을 권장합니다.


    가장 많이 막히는 포인트 7가지(해결 포함)

    1. 경로 착각
      /wp-content 같은 하위 폴더가 아니라 /www(또는 /public_html) 루트에 둬야 합니다. 루트 구분법은 간단합니다. index.phpwp-config.php가 보이는 그 위치가 루트예요.
    2. 이중 확장자
      Windows 메모장에서 저장할 때 파일 형식이 “텍스트문서”로 되어 있으면 ads.txt.txt가 되기 쉽습니다. 파일 형식: 모든 파일로 바꿔 ads.txt로 저장하세요.
    3. www 유무·서브도메인 혼동
      사이트가 https://www.example.com인지 https://example.com인지에 따라 애드센스가 인식하는 도메인이 다릅니다. 실제 노출 도메인에 맞춰 https://실도메인/ads.txt가 열리는지 확인하세요. 리다이렉트 정책이 올바르면 둘 다 접속 시 같은 파일을 보게 됩니다.
    4. 캐시(Cloudflare·서버 캐시·플러그인 캐시)
      방금 올린 파일이 안 보이면 브라우저 캐시를 지우고, 사용 중인 캐시 플러그인(예: Breeze, LiteSpeed 등)이나 CDN 캐시를 퍼지(clear) 해보세요.
    5. 권한/보안 모듈
      가끔 웹방화벽(ModSecurity) 규칙이나 파일 권한 때문에 접근이 막힐 수 있습니다. 파일 권한은 644를 권장하고, 카페24 보안 설정에서 특이 규칙을 건드리지 않았다면 대부분 기본값으로 충분합니다.
    6. HTTPS 강제 리다이렉트
      http로 테스트하다가 https로 강제 이동될 때 404가 나오는 경우가 드뭅니다. 주소창에 https로 직접 입력해 확인하세요.
    7. 애드센스 대시보드 반영 지연
      파일이 잘 보이는데도 경고가 잠시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몇 시간~48시간 내 정리됩니다. 너무 빨리 삭제하려고 라인을 바꾸다 오히려 꼬이는 경우가 있으니, 확인만 해두고 기다리면 자연스럽게 해소됩니다.


    여러 광고 네트워크를 쓰는 경우

    한 줄당 하나의 판매자입니다. 예시는 아래처럼 줄바꿈으로 추가합니다.

    google.com, pub-1234567890123456, DIRECT, f08c47fec0942fa0
    another-adnet.com, 987654321, RESELLER, a1b2c3d4e5f6g7h8
    

    DIRECT/RESELLER 표기는 네트워크 안내대로 적어야 하며, 잘못 적으면 검증 실패로 취급될 수 있습니다.


    삭제·수정은 어떻게?

    같은 위치(/www)의 ads.txt를 덮어쓰기 하면 됩니다. 과거 내용이 남아 꼬이는 일이 없도록 불필요한 라인은 과감히 삭제하고 저장하세요. 수정 후에도 https://도메인/ads.txt에서 최신 내용이 보이는지 항상 점검합니다.


    한 번에 점검하는 최종 체크리스트

    • 루트 경로가 /www인지 확인했는가
    • 루트에 index.php, wp-config.php가 보이는가
    • 파일명이 ads.txt(이중 확장자 아님)인가
    • 내용에 애드센스 퍼블리셔 ID가 정확한가
    • https://내도메인/ads.txt로 열어보면 라인이 그대로 보이는가
    • 캐시/보안 때문에 가려지지 않았는가
    • 몇 시간~48시간 후 애드센스 경고가 사라지는지 확인했는가


    마무리

    ads.txt 업로드는 사실 위치만 정확히 알면 3분 컷입니다. 카페24에서는 /www(문서 루트) 가 정답이고, 그 증거는 루트에 보이는 워드프레스 핵심 파일들입니다. 여기에 ads.txt 한 장만 올려두면, 애드센스 경고는 잠시 머물렀다가 조용히 사라집니다. 복잡한 설정은 잊어도 좋습니다. 주소창에 https://내도메인/ads.txt—이 한 번의 확인이 모든 걸 말해줍니다.

  • 워드프레스, 다음(Daum) 검색 등록하기 초간단 가이드

    워드프레스, 다음(Daum) 검색 등록하기 초간단 가이드

    카페24나 다른 호스팅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했다면, 네이버·구글만큼 다음 검색 등록도 챙기는 게 좋아요. 절차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아래 순서를 그대로 따라 하시면 10분 이내로 “접수 완료”까지 갑니다.


    워드프레스 다음검색 등록가이드-썸네일


    1. 다음 검색등록 페이지 열기

    1. 브라우저에서 검색등록(daum.net)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 첫 화면의 파란 버튼 신규 등록하기를 클릭합니다.
    3. 등록 방식에서 기본값 사이트 검색을 유지합니다.


    다음 검색등록 첫 화면 – 신규 등록하기 버튼 위치


    2. URL 예비 확인

    1. 중앙 입력창에 사이트 루트 주소를 적습니다.
      • 예: https://limitsend.com
    2. 파란 확인 버튼을 눌러 URL 형식이 맞는지 체크합니다.
    3. 결과가 정상이라면 아래의 상세 작성 폼으로 이동합니다.


    신규등록 – 사이트 검색 선택과 URL 입력 예시


    3. 공통정보 입력 폼 작성

    폼은 한 번에 작성하고 제출하면 됩니다. 각 항목을 깔끔하게 채우는 요령을 알려 드릴게요.

    • 제목
    사이트 상단 로고 옆에 표시되는 브랜드/사이트명을 간단명료하게 기입
    예: LIMITSEND – 워드프레스 가이드 & 블로그

    • URL
    루트 주소(https 권장 되나 선택이 따로 되는 것이 아님) 블로그 주소만 입력

    • 설명
    사이트의 주제와 핵심 가치를 2~3문장으로 요약. 키워드를 자연스럽게 포함
    예시: “워드프레스 설치, SEO, 보안과 운영 팁을 다루는 실전 블로그입니다. 카페24·클라우드웨이즈 등 호스팅과 구글/네이버/빙 검색등록 노하우를 제공합니다.”

    • 설명–품목 / 설명–지역
    기업·매장이라면 업종과 지역을 정확히, 개인·블로그는 업종만 간단히 기입마찬가지로 넣지 않아도 됩니다.
    예: 품목: IT·인터넷 > 인터넷 블로그, 지역: 공란 또는 운영지역

    • 카카오톡 채널 URL(선택)
    있다면 https://pf.kakao.com/… 형태의 주소를 붙여 넣습니다.따로 넣지 않아도 됩니다.

    • 디렉토리
    돋보기로 검색해 가장 가까운 카테고리를 선택
    예: 컴퓨터, 인터넷 > 인터넷 > 블로그


    신규등록 공통정보 입력 화면 – 제목/URL/설명/디렉토리 작성 예시


    4. 신청자 정보 입력 및 제출

    • 이름, 이메일을 입력합니다.
    • 모든 항목이 맞는지 확인 후 확인 버튼을 눌러 제출합니다.
    제출 즉시 “신청 완료” 화면이 뜨고, 같은 내용의 접수 메일이 도착합니다.


    접수 완료 안내 메일 화면


    5. 워드프레스 운영자 체크리스트

    다음은 별도 ‘웹마스터 도구’가 없고, 등록 접수 → 내부 가이드에 따른 심사 방식입니다. 대신 사이트 기본기를 튼튼히 해두면 반영이 수월합니다.

    1. HTTPS 정상화
      카페24 무료 SSL(루트+www 포함) 발급 → 강제 https 적용 → 혼합콘텐츠 제거
    2. 사이트 속도/모바일 대응
      반응형 테마, 이미지 사이즈 최적화, 캐시 플러그인(Breeze/LiteSpeed) 사용
    3. 메타 태그/오픈그래프
      제목·설명(메타디스크립션), og:image 썸네일 지정
    4. 로봇 설정
      robots.txt에서 수집 차단이 없는지 확인
      기본 예시
    User-agent: *
    Allow: /
    Sitemap: https://도메인/sitemap_index.xml
    
    1. 사이트맵 제공
      Yoast/RankMath 등 SEO 플러그인으로 sitemap_index.xml 자동 생성
      비록 ‘다음 전용 제출’ 기능은 없지만, 사이트맵이 있는 사이트가 전반적인 검색 호환성에서 유리합니다.
    2. 동일한 주소 체계 유지
      www ↔ non-www 한쪽으로 301 리다이렉트, 내부 링크도 같은 규칙으로 통일


    6. 접수 후 얼마나 걸릴까?

    심사 기간은 고정이 아니며, 컨텐츠 양과 사이트 신뢰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첫 반영까지는 며칠~수 주 정도 보고, 그 사이에 새 글을 꾸준히 발행하세요. 접수했다고 즉시 노출 보장은 아니지만, 기본 세팅을 잘 해두면 안정적으로 노출이 쌓입니다. 접수 후 문제가 없다면 보통 사이트 등록이 완료 되지만 안되는 경우도 많으니 사이트를 개설하고 나서 몇개의 글을 작성 후에 바로 등록 신청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7. 자주 묻는 질문

    Q1. 블로그 글 하나만 올린 새 사이트도 등록되나요?
    A. 가능은 하지만 통상적으로 기본 페이지(소개/연락처/개인정보처리방침) 와 5~10개 이상의 콘텐츠가 있을 때 신뢰도가 좋습니다.

    Q2. 카테고리를 잘못 선택했어요. 수정 가능할까요?
    A. 접수 후에도 변경/수정 요청이 가능합니다. 동일 페이지에서 URL로 조회 후 수정하세요.

    Q3. 티스토리/블로그 서비스도 같은 절차인가요?
    A. 기본은 비슷하지만, 자체 수집 시스템과 정책이 달라 결과 반영은 다르게 보일 수 있습니다.


    8. 문제 해결 팁

    • 접수는 됐는데 노출이 안 보임
    콘텐츠 양/품질을 늘리고, 최신 글 발행 주기를 유지하세요. 제목·설명 중복을 피하고 얕은 글보다는 체류시간을 유도하는 구성(목차·이미지·내부링크)이 유리합니다.

    • 주소 오류/보안 경고
    SSL 미적용 또는 잘못된 리다이렉트가 원인. 먼저 https:// 접속이 정상인지 점검하세요.

    • 모바일 페이지 깨짐
    테마/빌더 CSS 충돌 가능성. 캐시를 지우고, 핵심 CSS 로딩을 차단하는 설정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 카페24 워드프레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그림으로 따라하기

    카페24 워드프레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그림으로 따라하기

    카페24에 워드프레스를 올렸다? 그렇다면 이제 네이버 검색 노출을 위한 첫 단추, 서치어드바이저(옛 웹마스터도구) 등록입니다. 아래 순서대로 그대로 따라 하면 10분 내에 소유권 확인부터 RSS·사이트맵 제출까지 끝낼 수 있어요.


    카페24-워드프레스-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등록 방법-썸네일


    1. 서치어드바이저 접속 및 사이트 추가

    1. https://searchadvisor.naver.com 접속 후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2. 왼쪽 메뉴에서 사이트 관리 → 사이트 등록 → 최상위 주소 입력(예: https://limitsend.com) → 계속

    이제 소유권 확인 단계로 이동합니다. 확인 방식은 두 가지(HTML 파일 업로드, HTML 메타태그). 워드프레스 운영자라면 HTML 메타태그가 가장 간편합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 소유확인 화면


    사이트 등록 후 ‘HTML 파일 업로드’와 ‘HTML 태그’ 중에서 확인 방법을 선택

    카페24 호스팅을 하실경우 사용하는 서비스에 따라서 SSL이 설치가 되어 있지 않아서 http://내주소 만 연결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https://내주소 도 연결하기 위해서는 cafe24에서 ssl를 무료로 발급을 받아야 되는데 1개의 도메인에 대해서 무료의 경우도 설치비용이 11000원이 발생을 합니다.


    2. 소유권 확인 A – HTML 메타태그로 가장 빠르게

    1. 소유확인 화면에서 HTML 태그 라디오 버튼 선택
    2. 표시된 <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 코드를 통째로 복사
    3. 워드프레스 관리자에서 헤드 영역(head)에 삽입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방법 A-1. 테마 편집기에서 직접 삽입(차일드 테마 권장)

    워드프레스 관리자 → 모양 → 테마 편집기header.php 파일의 </head> 바로 위에 메타태그 붙여넣기 → 업데이트

    워드프레스 테마 편집기 메뉴 위치



    모양 → 테마 편집기에서 header.php를 열어 <head> 영역에 메타태그 삽입

    사용하는 테마에 따라 위치가 나오지 않을 때도 있습니다.


    방법 A-2. 플러그인으로 안전하게 삽입(테마 변경해도 안전)

    플러그인 → 새로 추가 → Insert Headers And Footers 또는 WPCode 설치/활성화
    설정 → WP Headers and Footers(또는 WPCode)Header 입력칸에 메타태그 붙여넣기 → 저장

    insert Headers and Footers 플러그인 설치

    설정 → WP Headers and Footers(또는 WPCode) 경로에서 헤더에 코드 삽입

    Insert Headers and Footers 플러그인 설치 화면 워드프레스 설정에 추가 됨

    코드 삽입형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테마를 바꿔도 태그가 유지되어

    헤더 입력칸에 네이버 메타태그 붙여넣기

    메타태그는 반드시 <head> 내부에 들어가야 합니다. 넣고 저장


    워드프레스로 돌아가 저장이 끝났다면 서치어드바이저로 돌아가 소유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성공 메시지가 뜨면 완료!


    “사이트 소유 확인이 완료되었습니다” 메시지가 보이면 1단계 통과


    3. 소유권 확인 B – HTML 파일 업로드(대안)

    메타태그가 어려운 환경이라면 HTML 파일 업로드 방식 선택 → naver-xxxx.html 파일을 다운로드 → 카페24 웹FTP에서 워드프레스 루트(보통 index.php가 있는 최상위 폴더)에 업로드 → 브라우저로 https://도메인/naver-xxxx.html 열림 확인 → 소유확인 클릭.
    팁: 파일을 서브폴더에 넣으면 실패하니 꼭 루트에!


    4. RSS 제출 – 최신 글 수집 가속

    워드프레스 기본 RSS 주소 예시는 https://limitsend.com/rss 또는 https://limitsend.com/feed 입니다(둘 중 하나만 제출해도 충분). 서치어드바이저 왼쪽 메뉴 요청 → RSS 제출에서 주소를 넣고 확인을 누르세요.

    RSS 제출 화면에 /rss 입력 예시

    워드프레스는 /rss 또는 /feed로 RSS가 제공되며 둘 중 하나만 제출해도 OK


    5. 사이트맵 제출 – 전체 URL 인덱스 도우미

    SEO 플러그인(예: Yoast, RankMath)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사이트맵이 생성됩니다. 대표 주소는 https://limitsend.com/sitemap_index.xml
    서치어드바이저 → 요청 → 사이트맵 제출에서 위 주소를 넣어 제출하세요.

    인덱스 사이트맵을 제출하면 글·페이지·카테고리 등 세부 사이트맵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음


    6. 등록 후 체크리스트 7가지

    1. 사이트 주소는 항상 https 버전으로 제출했는가
    2. RSS/사이트맵 URL이 실제로 열리는가(브라우저에서 200 OK 확인)
    3. robots.txt에서 실수로 Disallow: /로 막아놓지 않았는가
    4. 혼합 콘텐츠(이미지/스크립트가 http로 남아 자물쇠 깨짐) 없는가
    5. 도메인 리다이렉트가 한쪽으로 일관되게 걸렸는가(www ↔ non-www)
    6. 초기에는 리포트 → 웹페이지 수집에서 오류/차단이 없는지 주기적으로 점검
    7. 글 발행 후에는 RSS/사이트맵이 새 글을 잘 반영하는지 확인


    7. 자주 묻는 질문(실전 답변)

    Q. 메타태그 vs HTML 파일, 어떤 게 더 좋나요?
    A. 둘 다 동일하게 유효합니다. 워드프레스라면 메타태그 + 코드삽입 플러그인이 테마 바꿔도 안전해 선호됩니다.

    Q. 소유권 확인 후 태그/파일을 삭제해도 되나요?
    A. 그대로 두는 걸 권장합니다. 테마 교체나 이사 중 실수로 삭제되면 소유권이 풀릴 수 있어요.

    Q. 언제부터 네이버에 노출되나요?
    A. 소유권 확인은 수집의 전제 조건일 뿐, 노출은 수집·색인 주기에 따라 반영됩니다. RSS와 사이트맵을 제출해 리드타임을 줄이세요.

    Q. RSS가 /rss와 /feed 둘 다 되는데 뭘 쓰죠?
    A. 둘 중 하나만 제출하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rss를 권장합니다(간단하고 기억하기 쉬워요).


    8. 문제 해결 가이드

    • “소유권 확인 실패”: 메타태그가 <head> 바깥에 있거나 캐시로 인해 반영이 늦은 경우. 캐시 삭제 후 재시도
    • “파일 확인 실패”: HTML 파일을 루트에 올렸는지, 스펠링이 정확한지, https://도메인/naver-xxxx.html로 직접 열리는지 확인
    • “사이트맵 제출 오류”: SEO 플러그인의 사이트맵 기능이 비활성화되었거나 보안 플러그인이 차단. 플러그인 설정에서 사이트맵 활성화
    • “RSS 제출 오류”: 퍼머링크 구조/보안 플러그인에 의해 피드가 막힌 경우. 일시적으로 보안 규칙을 완화하고 제출


    9. 카페24 사용자에게 드리는 한 줄 요약

    1. “사이트 등록 → 메타태그(head) 삽입 → 소유확인 → RSS·사이트맵 제출” 이 순서만 지키면 끝
    2. 테마를 자주 바꾸거나 작업이 잦다면 코드삽입 플러그인으로 관리하세요. 실수로 header.php를 덮어써도 태그가 안전합니다.
  • 카페24 워드프레스,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하는 방법-DNS 설정

    카페24 워드프레스,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하는 방법-DNS 설정

    워드프레스를 카페24에서 설치한 뒤, 본격적으로 검색 노출을 하려면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바로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 GSC) 등록이죠.

    서치콘솔은 내 사이트가 구글에 어떻게 보이는지, 어떤 키워드로 검색되는지, 인덱스(검색 수집)가 잘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 도구입니다. 오늘은 카페24 호스팅 환경에서 DNS TXT 레코드를 이용해 소유권을 인증하고, 서치콘솔에 등록하는 방법을 따라 하시기만 하면 됩니다.


    카페24 구글서치콘솔 등록하기-썸네일


    1. 구글 서치콘솔 접속하기

    1. Google Search Console에 접속합니다.
    2.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이제 새 속성을 추가해야 하는데, 도메인 전체 등록을 권장합니다. 그래야 http, https, www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주소가 한 번에 관리됩니다.


    2. 속성 유형 선택

    • 도메인 속성: example.com 전체 등록
    • URL 접두어: 특정 주소만 등록

    👉 카페24 사용자라면 도메인 속성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깔끔합니다.


    3. DNS TXT 레코드 발급받기

    도메인 속성을 선택하면 구글이 다음과 같은 값을 줍니다.

    아래와 같은 형태의 txt를 복사 해서 DNS에 넣으라고 합니다.

    google-site-verification=xxxxxxxxxxxxxxxxxxxxxxxx
    이 값을 카페24 도메인 DNS 관리에서 TXT 레코드로 추가해야 합니다.


    4. 카페24에서 TXT 레코드 추가하기

    이제 카페24 관리자 페이지에서 TXT 레코드를 추가하는 방법을 보여드릴게요.

    (1) DNS 관리 메뉴 들어가기

    왼쪽 메뉴에서 도메인 관리 → DNS 관리로 들어갑니다.

    카페24 구글서치콘솔 등록하기-dns 관련 설정 위치 및 txt 관련 선택


    (2) TXT 레코드 추가 버튼 클릭

    TXT 관리 항목을 선택하고, 오른쪽에 있는 TXT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3) TXT 값 붙여 넣기

    • TXT 값: 구글에서 발급받은 google-site-verification=xxxxxx 값 전체 복사 후 붙여 넣기


    5. 서치콘솔에서 소유권 확인

    이제 다시 구글 서치콘솔로 돌아가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정상적으로 TXT 레코드가 적용되었다면 아래처럼 소유권 확인됨 메시지가 뜹니다.


    6. 등록 완료된 모습 확인

    성공적으로 등록되면 서치콘솔에서 내 도메인이 도메인 속성으로 표시됩니다.


    7. 사이트맵 제출하기 (추가 단계)

    소유권 인증이 끝났다면, 다음 단계로 사이트맵을 제출해야 합니다. 그래야 구글이 내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글과 페이지를 빠르게 인덱싱할 수 있습니다.

    1. 워드프레스 관리자 로그인
    2. Yoast SEO 또는 RankMath 같은 SEO 플러그인 설치
    3. 사이트맵 주소 확인: https://도메인/sitemap_index.xml
    4. 서치콘솔 → 색인 → 사이트맵 메뉴에서 제출
    카페24 구글서치콘솔 등록하기-DNS로 소유권 확인 후 SITEMAP 등록하기


    ✅ 마무리

    이제 카페24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구글 서치콘솔에 정상적으로 등록되었습니다.
    정리하면,

    사이트맵 제출 → 검색 노출 준비 끝!

    구글 서치콘솔 접속 → 도메인 속성 선택

    TXT 레코드 발급 → 카페24 DNS 관리에서 추가

    서치콘솔에서 확인 → 소유권 인증 완료


    💡 팁:

    • TXT 레코드를 절대 삭제하지 마세요. 삭제하면 소유권 인증이 풀릴 수 있습니다.
    • 사이트맵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면서 색인 누락 여부를 확인하세요.
  • 저작권의 종류 및 사진·음악 저작권 쉽게 이해하기

    저작권의 종류 및 사진·음악 저작권 쉽게 이해하기

    블로그를 하다 보면 사진도 쓰고, 음악도 배경에 깔고 싶을 때가 있죠. 그런데 이런 자료들은 그냥 가져다 쓰면 큰일 납니다. 바로 저작권 때문이죠. 오늘은 저작권의 종류와 대표적인 사진·음악 저작권을 쉽게 풀어볼게요.


    저작권의 종류 및 사진저작권 음악저작권의 이해-썸네일

    저작권이란?

    저작권은 창작자가 만든 작품에 대해 가지는 권리입니다. 글, 사진, 음악, 영상 등 창의적인 결과물은 모두 저작권 보호 대상이에요.
    쉽게 말해 “내가 만든 건 내 것” 이라는 뜻이죠.


    저작권의 종류

    저작권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1. 저작인격권

    • 창작자가 자신의 작품에 대해 가지는 인격적 권리
    • 남이 내 작품을 내 허락 없이 이름을 바꾸거나 훼손하면 안 돼요.
    • 대표 예시: 성명 표시권, 동일성 유지권

    2. 저작재산권

    쉽게 말해 “이 작품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권리”입니다.

    작품을 이용해서 돈을 벌 수 있는 권리

    공연, 복제, 배포, 전송 같은 권리가 포함돼요.


    사진 저작권

    블로그에서 가장 많이 부딪히는 부분이 바로 사진 저작권이죠.

    1. 직접 찍은 사진 →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음 (안전!)
    2. 인터넷 검색 사진 무단 사용 → 저작권 침해 위험 (위험!)
    3. 무료 이미지 사이트 (Pixabay, Unsplash 등) → 라이선스 확인 후 사용
    4. 유료 스톡이미지 (Getty, Shutterstock 등) → 구매 후 사용 가능

    특히 크리에이티브 커먼즈(CC) 라이선스의 경우 조건이 다양하니, 출처 표시나 상업적 사용 가능 여부를 꼭 체크하세요.


    음악 저작권

    영상 제작이나 블로그 배경음악으로 음악을 쓰고 싶을 때도 있죠. 하지만 음악은 저작권이 특히 민감합니다.

    1. 작곡가·작사가·가수 모두 권리 보유
      • 멜로디, 가사, 연주, 음원까지 각각 저작권이 있어요.
    2. 저작권 관리 단체
      • 한국음악저작권협회(KOMCA) 같은 단체에서 관리합니다.
      • 유튜브에서 음악 쓰다 저작권 경고 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3. 저작권 없는 음악 찾기
      •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무료 음원 사이트 활용
      • 단, 출처 표기나 상업적 사용 가능 여부는 꼭 확인!


    블로그 운영자를 위한 안전한 저작권 사용 팁

    • 사진은 내가 찍은 것 또는 무료/유료 이미지 사이트 활용
    • 음악은 저작권 없는 무료 음원이나 라이선스 구매 음원 사용
    • 출처 표기는 습관처럼! “출처: 사이트명, 작가명”만 적어도 큰 도움이 됩니다.
    • 상업적 블로그라면 특히 꼼꼼히 확인하세요.


    마무리

    저작권은 복잡해 보여도 원칙은 간단합니다.
    👉 내가 만든 것만 내 마음대로, 남의 건 허락 받고!

    블로그를 오래, 안전하게 운영하려면 사진과 음악 저작권을 꼭 지키는 게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