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워드프레스 SEO

  • H1 태그 중복, 왜 문제가 될까? 사이트 구조와 SEO 관점에서 해결 방법

    H1 태그 중복, 왜 문제가 될까? 사이트 구조와 SEO 관점에서 해결 방법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나 구글 서치콘솔에서 이런 메시지를 본 적 있으실 거예요.
    <h1> 태그가 2개 이상 발견되었습니다.
    딱 보는 순간 머릿속이 복잡해집니다. “분명히 글 제목에만 <h1>을 썼는데, 왜 중복으로 잡히는 걸까?”


    h1 태그 중복 왜 문제인가 사이트구조-seo 관점-썸네일


    사실 이 문제는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심지어 직접 만든 홈페이지까지 웹사이트 구조 전반에서 흔히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h1> 중복 문제가 왜 발생하는지, SEO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를 차근차근 풀어드리겠습니다.


    1. <h1> 태그의 의미와 역할

    먼저 기본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야겠죠.
    <h1> 태그는 HTML 문서에서 가장 중요한 제목을 의미합니다. 문서의 주제를 검색엔진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그 중요성 때문에 한 페이지에 단 하나만 존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h1>: 문서 전체의 대표 제목
    • <h2>: 주요 소제목
    • <h3>: 세부 소제목

    즉, <h1>은 책으로 치면 ‘책 제목’, <h2>는 ‘챕터 제목’, <h3>는 ‘소제목’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글쓰기를 한다면 제일 위에 제목이 h1를 담당합니다. 그러니 작성 에디터에서는 h2를 첫 소제목으로 보고 글을 작성하면 됩니다.


    2. 왜 <h1> 태그가 중복될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h1> 태그는 종종 두 개 이상 등장합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블로그·사이트 스킨 구조 문제

    많은 블로그 스킨(예: 티스토리 Book Club, 워드프레스 일부 테마)은 상단 로고나 사이트 이름<h1> 태그로 감싸 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에 사용자가 글 제목에 <h1>을 추가하면, 사이트 이름 + 글 제목 두 개의 <h1>이 동시에 존재하게 됩니다.

    (2) 작성자가 직접 잘못 사용하는 경우

    일부 초보 블로거는 글을 강조하려고 <h1>을 반복적으로 쓰기도 합니다. 하지만 강조라면 <strong>이나 <em>을 쓰는 것이 맞습니다. <h1>은 단순한 굵은 글씨가 아니라 페이지의 계층 구조를 정의하는 태그이기 때문입니다.


    3. <h1> 중복이 SEO에 미치는 영향

    그렇다면 <h1>이 두 개 이상 있다고 해서 사이트가 망할까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구글은 최근 알고리즘에서 <h1>이 여러 개 있어도 어느 정도는 유연하게 처리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검색엔진이 문서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워진다는 점입니다.

    • 문서의 주제를 파악하는 데 혼선 발생
    • 검색 노출 품질 저하 가능성
    • 구조적으로 불완전한 페이지로 분류될 위험

    네이버나 구글 모두 명확한 계층 구조를 선호하기 때문에, <h1>은 반드시 하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h1> 태그 중복 해결 방법

    자, 이제 어떻게 고치면 좋을까요?

    (1) 스킨 구조 수정 (추천)

    • 티스토리: 관리 → 꾸미기 → 스킨 편집 → HTML 편집
    • 워드프레스: 테마 편집기

    여기서 블로그 이름이나 로고 부분의 <h1><div> 또는 <h2>로 변경하면 됩니다.

    <!-- 변경 전 -->
    <h1 class="blog-title">내 블로그 이름</h1>
    
    <!-- 변경 후 -->
    <h2 class="blog-title">내 블로그 이름</h2>
    

    (2) 글 본문에서 <h1>은 절대 1회만 사용

    글 제목은 자동으로 <h1>이 되므로, 본문에서는 <h2>, <h3>를 계층적으로 사용하세요.

    잘못된 예시:

    <h1>SEO 최적화 방법</h1>
    <h1>H1 태그 오류</h1>
    

    올바른 예시:

    <h1>SEO 최적화 방법</h1>
    <h2>H1 태그 오류</h2>
    <h3>스킨 구조 문제</h3>
    

    (3) <h1> 개수 확인하기

    • 크롬 브라우저: 우클릭 → 페이지 소스 보기 → Ctrl+F로 <h1> 검색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사이트 진단 → URL 검사
    • 구글 서치콘솔: URL 검사 → HTML 구조 확인


    5. 티스토리 Book Club 스킨 사용자 주의사항

    특히 Book Club 스킨은 기본적으로 상단 블로그 이름에 <h1>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글 제목이 <h1>으로 잡히면서 자동으로 2개 이상 중복되는 것이죠.

    해결법은 간단합니다.

    • 상단 블로그 이름을 <h2> 또는 <div>로 교체
    • 글 제목만 <h1>으로 남겨두기

    이렇게 하면 블로그 전반의 SEO 품질이 훨씬 좋아집니다.


    6. <h1>을 포함한 올바른 문서 구조 예시

    이제 실제 문서 구조를 예로 들어볼까요?

    <h1>블로그 SEO 최적화 가이드</h1>
      <h2>1. H1 태그의 중요성</h2>
        <h3>H1이란 무엇인가?</h3>
      <h2>2. H1 중복의 문제점</h2>
        <h3>스킨 구조에서의 오류</h3>
        <h3>사용자 실수</h3>
      <h2>3. 해결 방법</h2>
        <h3>HTML 편집으로 수정</h3>
        <h3>올바른 계층 구조 사용</h3>
    

    이처럼 계층 구조가 명확할수록 검색엔진은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고, 독자도 읽기 편해집니다.


    7. 마무리 – 작은 디테일이 큰 차이를 만든다

    정리하자면,

    • <h1>은 한 페이지에 단 하나!
    • 블로그 이름은 <div><h2>로 충분하다
    • 본문에서는 <h2>, <h3>를 계층적으로 사용
    • SEO 진단 도구로 정기적으로 점검

    SEO는 큰 전략만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런 작은 디테일이 검색 노출과 순위를 좌우합니다.
    티스토리든 워드프레스든, 스킨 구조를 한 번 점검해보고 <h1> 태그가 딱 하나만 있는지 꼭 확인해 보세요.

    검색엔진에게도, 방문자에게도 더 깔끔한 페이지가 완성됩니다.

  • 카페24 워드프레스,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하는 방법-DNS 설정

    카페24 워드프레스, 구글 서치콘솔에 등록하는 방법-DNS 설정

    워드프레스를 카페24에서 설치한 뒤, 본격적으로 검색 노출을 하려면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바로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 GSC) 등록이죠.

    서치콘솔은 내 사이트가 구글에 어떻게 보이는지, 어떤 키워드로 검색되는지, 인덱스(검색 수집)가 잘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 도구입니다. 오늘은 카페24 호스팅 환경에서 DNS TXT 레코드를 이용해 소유권을 인증하고, 서치콘솔에 등록하는 방법을 따라 하시기만 하면 됩니다.


    카페24 구글서치콘솔 등록하기-썸네일


    1. 구글 서치콘솔 접속하기

    1. Google Search Console에 접속합니다.
    2.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이제 새 속성을 추가해야 하는데, 도메인 전체 등록을 권장합니다. 그래야 http, https, www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주소가 한 번에 관리됩니다.


    2. 속성 유형 선택

    • 도메인 속성: example.com 전체 등록
    • URL 접두어: 특정 주소만 등록

    👉 카페24 사용자라면 도메인 속성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깔끔합니다.


    3. DNS TXT 레코드 발급받기

    도메인 속성을 선택하면 구글이 다음과 같은 값을 줍니다.

    아래와 같은 형태의 txt를 복사 해서 DNS에 넣으라고 합니다.

    google-site-verification=xxxxxxxxxxxxxxxxxxxxxxxx
    이 값을 카페24 도메인 DNS 관리에서 TXT 레코드로 추가해야 합니다.


    4. 카페24에서 TXT 레코드 추가하기

    이제 카페24 관리자 페이지에서 TXT 레코드를 추가하는 방법을 보여드릴게요.

    (1) DNS 관리 메뉴 들어가기

    왼쪽 메뉴에서 도메인 관리 → DNS 관리로 들어갑니다.

    카페24 구글서치콘솔 등록하기-dns 관련 설정 위치 및 txt 관련 선택


    (2) TXT 레코드 추가 버튼 클릭

    TXT 관리 항목을 선택하고, 오른쪽에 있는 TXT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3) TXT 값 붙여 넣기

    • TXT 값: 구글에서 발급받은 google-site-verification=xxxxxx 값 전체 복사 후 붙여 넣기


    5. 서치콘솔에서 소유권 확인

    이제 다시 구글 서치콘솔로 돌아가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정상적으로 TXT 레코드가 적용되었다면 아래처럼 소유권 확인됨 메시지가 뜹니다.


    6. 등록 완료된 모습 확인

    성공적으로 등록되면 서치콘솔에서 내 도메인이 도메인 속성으로 표시됩니다.


    7. 사이트맵 제출하기 (추가 단계)

    소유권 인증이 끝났다면, 다음 단계로 사이트맵을 제출해야 합니다. 그래야 구글이 내 워드프레스 사이트의 글과 페이지를 빠르게 인덱싱할 수 있습니다.

    1. 워드프레스 관리자 로그인
    2. Yoast SEO 또는 RankMath 같은 SEO 플러그인 설치
    3. 사이트맵 주소 확인: https://도메인/sitemap_index.xml
    4. 서치콘솔 → 색인 → 사이트맵 메뉴에서 제출
    카페24 구글서치콘솔 등록하기-DNS로 소유권 확인 후 SITEMAP 등록하기


    ✅ 마무리

    이제 카페24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구글 서치콘솔에 정상적으로 등록되었습니다.
    정리하면,

    사이트맵 제출 → 검색 노출 준비 끝!

    구글 서치콘솔 접속 → 도메인 속성 선택

    TXT 레코드 발급 → 카페24 DNS 관리에서 추가

    서치콘솔에서 확인 → 소유권 인증 완료


    💡 팁:

    • TXT 레코드를 절대 삭제하지 마세요. 삭제하면 소유권 인증이 풀릴 수 있습니다.
    • 사이트맵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면서 색인 누락 여부를 확인하세요.